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프랑스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프랑스 문학은 프랑스어로 쓰인 문학을 아우르며, 9세기 스트라스부르 서약과 성녀 에울랄리아 찬가에서 시작되어 중세, 르네상스,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를 거쳐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와 사조를 반영한다. 중세에는 무훈시와 궁정 연애 문학이 발달했고,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전주의와 인문주의가 대두되었다. 17세기에는 바로크와 고전주의가 공존했으며,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이성이 강조되었다. 19세기에는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등 다양한 문학 사조가 등장했고, 20세기에는 초현실주의, 실존주의, 누보 로망 등 실험적인 시도가 이루어졌다. 프랑스 문학은 프랑스어권 문학 및 프랑스어 외 언어로 쓰인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문학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콩쿠르상, 페미나상 등 다양한 문학상이 존재하며, 크레티앵 드 트루아, 라블레, 몰리에르, 보들레르, 사르트르 등 수많은 작가와 작품이 프랑스 문학을 대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어 문학 - 불문학
    불문학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에서 창작된 문학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프랑스 문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의 프랑스어 문학을 포함하고,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해 왔다.
  • 프랑스 문학 - 소극
    우스꽝스러운 상황과 과장된 등장인물로 웃음을 유발하는 연극 장르인 소극은 중세 전례극에서 시작하여 막간극 형태로 발전, 사회 풍자와 해학을 담아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프랑스 문학 - 중세 프랑스 문학
    중세 프랑스 문학은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프랑스어로 쓰여진 문학 작품을 아우르는 것으로, 성자 전기에서 시작하여 무훈시, 로망, 서정시, 연극 등 다양한 장르로 발전하며 궁정문학 발달과 시적 형식 실험, 연극의 다변화를 이루었다.
  • 프랑스의 문화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프랑스의 문화 - 캉캉
    캉캉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된 사교춤으로, 빠른 템포에 맞춰 춤을 추며, 뮤직홀 공연과 예술 작품에 등장한다.
프랑스 문학
프랑스 및 프랑스어권 문학
분류프랑스 문학
역사
중세중세
르네상스르네상스
17세기17세기
18세기18세기
19세기19세기
20세기20세기
현대현대
문학 사조
프레시오지테프레시오지테
고전주의고전주의
로코코로코코
퇴폐주의퇴폐주의
파르나스주의파르나스주의
상징주의상징주의
누보 로망누보 로망
작가
연대별 목록프랑스어권 작가 목록
분류별 작가프랑스 작가
수필가프랑스 수필가
소설가프랑스 소설가
극작가프랑스 극작가
시인프랑스 시인
단편 소설 작가프랑스 단편 소설 작가
아동 문학 작가프랑스 아동 문학 작가
국가 및 지역
프랑스프랑스
퀘벡퀘벡
프랑코-미국프랑코-미국
아이티아이티
탈식민주의탈식민주의
포털
프랑스프랑스
문학문학

2. 프랑스 문학사

기원전 100년 카이사르에게 정복되기 전 골족(Gaulois)의 언어는 켈트어였으나, 로마 제국의 속주(屬州)로 5세기 동안 예속되면서 로마 문화와 혼합되었다. 인종적으로는 갈로-로맹인(人)을 형성했고, 기독교를 비롯한 제도·관습·언어 등이 로마화(化)하면서 갈로 로맹 문화로 발전했다. 언어는 프랑스 지방의 사투리처럼 된 구어(口語) 라틴어를 사용했는데, 이를 정통 라틴어에 대하여 로망스어라 한다.

당시 프랑스는 북부의 오일어(langue d'oïl)와 남부의 오크어(langue d'oc)로 분화되어 있었다. 현대 프랑스어는 오일어, 그중에서도 파리 방언에 기원한다. 중세 유럽에서는 라틴어가 거의 유일한 문어였지만, 점차 프랑스어로 글을 쓰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가장 오래된 불문학의 흔적은 9세기의 스트라스부르 서약과 성녀 에울랄리아 찬가로 거슬러 올라간다.

2. 1. 중세 프랑스 문학 (11-15세기)

프랑스어는 켈트어와 고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은 속라틴어에서 파생되었다. 842년스트라스부르 서약은 로망스어[7](프랑스어의 "조상")로 쓰인 최초의 완전한 문서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학" 텍스트는 881~882년경에 쓰여진 『성 유랄리의 세크엔치아(혹은 칸틸레나)』로, 29행의 종교적·교육적 라틴어 시를 간략하게 번안한 것이다.

프랑스 문학의 초기 위대한 작품들은 중세 중기인 11세기에 등장했는데, 이는 침략, 무정부, 전염병의 시대 이후 농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증가한 시기였다.

무훈시는 수천 행의 서사시로, 공중 앞에서 불리도록 의도되었다. "무훈"(geste)은 전쟁에서의 공적을 의미하며, 전설과 역사적 사실을 섞어 과거 전쟁의 공적을 상세히 이야기하고 기사도적 이상을 강조했다. 가장 오래되고 잘 알려진 것은 11세기에 쓰여진 『롤랑의 노래』로, 샤를마뉴 군대의 공적을 이상화하여 이야기한다.

12세기에 등장한 궁정 연애 문학(:fr:littérature courtoise)은 하나의 완벽하고 비극적인 연애 숭배를 주요 주제로 삼았다. 십자군 귀환과 함께 동양의 영향을 받아들이고 켈트 문화에서 영감을 얻었다. 『트리스탄과 이세우트』 전설은 연인들의 죽음으로 끝나는 완전하고 이룰 수 없는 연애를 이야기한다. 이러한 시들은 트루베르와 트루바두르들에 의해 군주들의 궁정에서 불려졌다. 크레티앙 드 트로아(1135?-1190?)는 아마도 최초의 프랑스 문학 기사도 소설 작가일 것이다. 『이방인 또는 사자 기사』, 『란슬롯 또는 수레 기사』, 『페르세발 또는 성배 이야기』 등은 이 문학 장르의 전형이다. 13세기 초 풍유적 서사시 『장미 이야기』는 궁정 연애를 주제로 한 마지막 글 중 하나로, 짧은(4058행) 서두는 기욤 드 로리스가 썼다. 장 드 메옹이 이어서 쓴 나머지 부분(약 18000행)은 여성 혐오적 구절(특히 "노파"에 대한 것)과 사회 비판적 논의를 포함한다.

장미 이야기』 사본(1420-30), 사랑의 신의 론도


거의 동시대에 이성을 가진 동물들의 모험을 다룬 『여우 이야기』가 쓰여졌다. 여우, 곰, 늑대, 닭, 고양이 등은 불성실, 순박, 교활 등 의인화된 인간적 성격을 가진다. 익명의 작가는 이 시들에서 봉건적 가치와 궁정적 도덕을 조롱했다.

프랑스어로 쓰인 최초의 연대기는 12세기 십자군 이야기이다. 조앙빌이 생 루이의 생애를 그린 것과 같이, 일부는 도덕적 목적을 가지며 이야기되는 사실을 약간 이상화하기도 했다. 백년전쟁(1337년 - 1453년)은 장 프로와사르(1337년 - 1410년?)의 2권의 『연대기』로 이야기되었다. 시인 유스타슈 드샹은 백년전쟁 동안의 사회와 정신 구조를 증언했다.

백년전쟁 종결 후, 시인 프랑수아 비용(1431년 - 1463년?)은 이 시대의 혼란과 격변을 표현했다. 고귀한 출신의 고아이자 훌륭한 학생이었지만, 절도와 살인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그 시대의 불의에 대한 반역을 나타낸다.

중세 전 기간 동안 종교극이 발달하여 성서극이나 크리스마스, 부활절, 예수 승천 등의 종교적 축제일을 상연했다. 앞선 문학 장르와는 대조적으로 종교극은 더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다. 종교극 외에도 희극이라 불리는 우스꽝스러운 극이 15세기에 등장하여 종교적 권위로부터 격렬한 공격을 받았다.

2. 2. 르네상스 프랑스 문학 (16세기)

이탈리아르네상스에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도 고전 문예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이 시기 프랑스 문학은 두 가지 주요 흐름을 보인다.

첫째는, 그리스·로마 고전 문학의 형식을 프랑스어로 부흥시키려는 시(詩) 운동이다. 클레망 마로는 페트라르카의 소네트 형식을 프랑스어로 처음 시도했고, 피에르 드 롱사르를 중심으로 한 플레야드파라틴어이탈리아어에서 단어를 신중하게 선택하고 언어 구조를 모방하여 프랑스어를 세련된 문학 언어로 만들고자 했다.

둘째는, 고전 문예의 정신과 사상을 되살리려는 산문 문학의 흐름이다. 프랑수아 라블레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을 통해 인간성과 현세적 삶의 해방을 표현했고, 몽테뉴는 《수상록》을 통해 회의, 검증, 인간 탐구 정신을 제시했다.[6]

2. 3. 17세기 프랑스 문학

17세기는 프랑스에 있어서 대세기(大世記, le Grand Siècle)라 불린다. 종교 갈등도 잦아든 전제군주 치하의 프랑스는 유럽의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문학사에 있어서도 불어에게 '몰리에르의 언어'(la langue de Molière)라는 이칭을 선사한 몰리에르가 활약한 것도 이 때이다. 17세기의 문학사는 바로크고전주의라는 양대 산맥의 대립·상보라고 요약할 수 있다.

1610년대 등장한 바로크는 문학적 화려함의 극치를 이루어 프레시오지테, 뷔를레스크 등의 갈래를 낳았으며, 마들렌 드 스퀴데리를 위시한 살롱이라는 문학 공간이 흥성하기도 하였다. 귀부인들이 주재하는 살롱이 속출, 유행하면서 사회적 지식층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자연스럽게 민간의 세력권을 이루고, 사교·대화·시적 교류·관찰을 통해 살롱 문학(인물·성격 묘사, 회고록, 잠언집 등)이 발달한다.

태양왕 루이 14세가 친정을 시작한 1660년이 문학사의 구분점이 되어 고전주의 문학이 전성기를 만든다. 몰리에르를 비롯한 라신, 라퐁텐 등이 궁정의 비호를 받으며 고전주의 극시(劇詩)를 만들어냈다.

17세기 말 신앙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성이 중요시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18세기의 계몽주의로 이어진다.

2. 4. 18세기 프랑스 문학

18세기는 계몽주의 시대(siècle des Lumières)라고 불리는데, 이는 이전 세기의 르네상스와 데카르트적 정신을 통해 이성의 승리를 추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계몽주의는 유럽 전역의 현상이었지만, 18세기 사상을 가장 잘 결집해낸 것은 프랑스의 철학자들이었으며, 이들은 프랑스 혁명을 넘어 전 유럽과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이 당시 프랑스 및 프랑스어권의 대표적인 계몽철학자로는 볼테르, 루소, 디드로, 몽테스키외 등이 있다.[6]

2. 5. 19세기 프랑스 문학

19세기 프랑스 문학은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자유를 갈망하고 개인의 감정과 상상력을 중시하는 낭만주의가 등장했다.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가로는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빅토르 위고, 알렉상드르 뒤마 등이 있다.

사실주의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경향으로, 스탕달, 오노레 드 발자크, 귀스타브 플로베르 등이 대표적이다. 에밀 졸라기 드 모파상 등은 인간과 사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는 자연주의 문학을 이끌었다.

샤를 보들레르, 아르튀르 랭보, 폴 베를렌, 스테판 말라르메 등은 현실 너머의 세계를 암시와 상징을 통해 표현하는 상징주의를 대표한다.

앙리 팡탱 라투르가 1872년에 그린 그림 속 폴 베를렌(맨 왼쪽)과 아르튀르 랭보(왼쪽에서 두 번째).

2. 6. 세기말 프랑스 문학 (Fin de Siècle)

19세기 말 프랑스 문학은 세기말(Fin de Siècle)이라는 용어로 대표되며, 기존 가치관에 대한 회의와 새로운 예술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시기 주요 작가로는 샤를 보들레르, 루이 아라공, 기 드 모파상, 에밀 졸라, 아나톨 프랑스, 알퐁스 도데, 스테판 말라르메, 로맹 롤랑 등이 있다.

2. 7. 20세기 프랑스 문학

20세기 프랑스 문학은 다양한 사조와 작가들의 등장으로 풍요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초현실주의는 무의식과 꿈의 세계를 탐구하며 기존 예술 형식을 파괴하는 데 앞장섰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앙드레 브르통, 루이 아라공 등이 있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자유와 선택, 책임의 문제를 다루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큰 영향을 미쳤다. 알베르 카뮈, 장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등이 대표적인 실존주의 작가로 꼽힌다.
누보로망은 전통적인 소설 기법을 거부하고 새로운 실험적인 소설을 추구했다. 알랭 로브그리예, 미셸 뷔토르, 나탈리 사로트 등이 누보로망을 대표하는 작가들이다.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프랑스 작가들은 다른 어떤 국가의 작가들보다 더 많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6] 다음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작가 또는 프랑스어 작가 목록이다.

연도작가비고
1901년쉴리 프뤼돔최초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1904년프레데리크 미스트랄오크어로 집필
1915년로맹 롤랑
1921년아나톨 프랑스
1927년앙리 베르그송
1937년로제 마르탱 뒤 가르
1947년앙드레 지드
1952년프랑수아 모리아크
1957년알베르 카뮈
1960년생장 페르스
1964년장폴 사르트르수상 거부
1969년사무엘 베케트아일랜드 출신, 영어와 프랑스어로 집필
1985년클로드 시몽
2008년J. M. G. 르 클레지오
2014년파트릭 모디아노
2022년아니 에르노



파리에서 산책하는 사무엘 베케트. 1969년 노벨상 수상.


세리지에서 열린 클로드 시몽과의 세미나. 1985년 노벨상 수상.

2. 8. 21세기 프랑스 문학

미셸 우엘베크는 현대 사회의 문제와 개인의 삶을 다루는 작품들을 발표하며 21세기 프랑스 문학의 다양한 경향을 보여주는 작가 중 한 명이다.

3. 프랑스어권 문학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벨기에, 스위스, 캐나다, 아이티, 세네갈, 알제리, 모로코 등 여러 나라에서 프랑스어로 쓰인 문학을 프랑스어권 문학이라고 하며, 이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6]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한 크레올어로 쓰인 크레올 문학도 널리 퍼져 있다.[6]

4. 프랑스어 외 언어로 쓰인 프랑스 문학

프랑스 문학은 프랑스어로 쓰인 문학 외에도, 프랑스어의 다양한 방언으로 쓰인 문학을 포함한다. 중세 시대에는 현대 프랑스 영토를 구성하는 여러 지역에서 각자의 표준어와 문학 전통이 발전했는데, 앵글로-노르망 문학과 프로방스 문학이 그 예시이다.

19세기에는 프로방스의 페리브리주와 같이 의식적인 언어 부흥 운동이 일어나면서, 노르망어 등 여러 방언 문학이 다시 활기를 띠었다. 프로방스어(옥시타니아어의 방언) 시인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90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브르타뉴어 문학은 1920년대 이후 활발하게 발전했다. 1925년 Roparz Hemon이 창간한 잡지 『Gwalarn』은 브르타뉴어 문학 작품 창작과 해외 문학 번역을 통해 브르타뉴어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려 노력했다. 1946년에는 『Al Liamm』지가 『Gwalarn』의 뒤를 이었다. Yann-Ber Kalloc'h, Anjela Duval, Per-Jakez Hélias 등이 대표적인 브르타뉴어 작가이다.

피카르디어 문학은 주로 연극 작품을 중심으로 창작되고 있다. 왈롱어 문학은 벨기에에서의 창작 활동이 활발하다. 카탈루냐어바스크어 문학은 프랑스 국외 독자층의 지지를 받고 있다.

1859년 유럽 언어 지도

5. 프랑스의 주요 문학상


  • 콩쿠르 문학상|Prix Goncourt프랑스어 – 1903년 창설, "그 해 가장 뛰어나고 상상력 넘치는 산문 작품"의 저자에게 수여된다.[1]
  • 페미나 문학상|Prix Femina프랑스어 – 1904년 창설, 여성 심사위원단이 매년 수상작을 결정하지만 수상 작가는 여성일 필요는 없다.[2]
  • 르노도 문학상|Prix Renaudot프랑스어 – 1926년 창설.[3]
  • 프랑스 아카데미 소설 대상|Grand Prix du roman de l'Académie française프랑스어 – 1918년 창설.[4]
  • 메디시 문학상|Prix Médicis프랑스어 – 1958년 창설, "명성이 아직 재능에 미치지 못하는" 작가에게 수여된다.[5]

6. 프랑스 문학과 한국

프랑스 문학은 개화기 이후 한국에 소개되어 한국 문학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자유민권운동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으며,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상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 문학은 프랑스 상징주의와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문학적 경향을 형성했다. 에밀 졸라기 드 모파상 등의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은 일본에서 시마자키 토손의 『파계』(1906)나 타야마 카타이의 『요』(1907) 등의 자연주의 소설이 쓰여지게 하였다. 우에다 빈은 역시집 『해조음』(1905)에서 7편의 프랑스 「상징시」를 일본에 소개했다.[14]

일본 유학생들은 프랑스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 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1889년 제국대학(현재의 도쿄대학교)에 불문과가 설치되었고,[13] 1923년 일본인 최초의 교수로 타츠노 타카시를 맞이한 이후 키시다 쿠니시, 스즈키 신타로, 미요시 타츠지, 와타나베 카즈오, 고바야시 히데오, 다자이 오사무(중퇴), 나카무라 신이치로, 후쿠나가 타케히코, 시부사와 료이치, 오에 겐자부로, 렌쇼우 시게히코 등의 문학자와 프랑스 문학 소개자를 배출했다. 1913년 설립된 어학원 아테네 프랑세에서는 다니자키 준이치로, 나카하라 츄야, 사카구치 안고, 오오카 쇼헤이, 시부사와 료이치 등이 프랑스어를 공부했다. 호리구치 다이가쿠는 『어제의 꽃』(1918)을 시작으로 『월하의 일군』(1925) 등 프랑스 시 번역을 통해 근현대시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14]

나카에 쇼민은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번역하여 자유민권운동에 영향을 주었다.[12] 구로이와 루이코는 뒤마의 『암굴왕』, 위고의 『비참한 사람들』 등을 번안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시마자키 도손, 다야마 가타이 등은 졸라, 모파상의 영향을 받아 자연주의 소설을 썼다.

우에다 빈은 시집 『해조음』을 통해 프랑스 상징시를 소개했다.[14] 나가이 가후는 프랑스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 이야기』를 저술하고, 시집 『산호집』을 통해 상징파 이후 프랑스 시를 소개했다. 미요시 다쓰지, 나카하라 주야 등은 프랑스 시 번역을 통해 구어 자유시, 산문시를 개척했다.

1913년 설립된 어학원 아테네 프랑세

6. 1. 한국에 미친 영향

개화기 이후, 프랑스 문학 작품들이 한국어로 번역되고 소개되면서 한국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자유민권운동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고,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상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 문학은 프랑스 상징주의와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문학적 경향을 형성했다. 에밀 졸라기 드 모파상 등의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은 일본에서 시마자키 토손의 『파계』(1906)나 타야마 카타이의 『요』(1907) 등의 자연주의 소설이 쓰여지게 하였다. 우에다 빈은 역시집 『해조음』(1905)에서 7편의 프랑스 「상징시」를 일본에 소개했다.[14]

일본 유학생들은 프랑스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 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1889년(메이지 22년)에는 제국대학(현재의 도쿄대학교)에 불문과가 설치되었고,[13] 1923년 일본인 최초의 교수로 타츠노 타카시를 맞이한 이후로는 키시다 쿠니시, 스즈키 신타로, 미요시 타츠지, 와타나베 카즈오, 고바야시 히데오, 다자이 오사무(중퇴), 나카무라 신이치로, 후쿠나가 타케히코, 시부사와 료이치, 오에 겐자부로, 렌쇼우 시게히코 등의 문학자와 프랑스 문학 소개자를 배출했다. 1913년 설립된 어학원 아테네 프랑세에서는 다니자키 준이치로, 나카하라 츄야, 사카구치 안고, 오오카 쇼헤이, 시부사와 료이치 등이 프랑스어를 공부했다. 호리구치 다이가쿠는 1918년 역시집 『어제의 꽃』을 시작으로 『월하의 일군』(1925) 등 프랑스 시의 활발한 번역,소개를 하였고, 이러한 역시는 근현대시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4]

6. 2. 주요 번역 및 연구

나카에 쇼민은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번역하여 자유민권운동에 영향을 주었다.[12] 구로이와 루이코는 뒤마의 『암굴왕』, 위고의 『비참한 사람들』 등을 번안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시마자키 도손, 다야마 가타이 등은 졸라, 모파상 등의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자연주의 소설을 썼다.

우에다 빈은 시집 『해조음』을 통해 프랑스 상징시를 소개했다.[14] 나가이 가후는 프랑스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 이야기』를 저술하고, 시집 『산호집』을 통해 상징파 이후 프랑스 시를 소개했다. 호리구치 다이가쿠는 프랑스 시 번역을 통해 근현대시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14] 미요시 다쓰지, 나카하라 주야 등은 프랑스 시 번역을 통해 구어 자유시, 산문시를 개척했다.

6. 3. 프랑스 문학 연구 기관 및 단체

1889년(메이지 22년) 제국대학(현재의 도쿄대학교)에 불문과가 설치되었다.[13] 초기에는 부진했지만, 1923년 일본인 최초의 교수 타츠노 타카시 부임 이후 키시다 쿠니시, 스즈키 신타로, 미요시 타츠지, 와타나베 카즈오, 고바야시 히데오, 다자이 오사무(중퇴), 나카무라 신이치로, 후쿠나가 타케히코, 시부사와 료이치, 오에 겐자부로, 렌쇼우 시게히코 등 많은 문학자와 프랑스 문학 연구자를 배출했다.

1913년 설립된 어학원 아테네 프랑세에서는 다니자키 준이치로, 나카하라 츄야, 사카구치 안고, 오오카 쇼헤이, 시부사와 료이치 등이 프랑스어를 공부했다.

7.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

프랑스 문학은 다양한 장르와 시대를 아우르며 수많은 작가와 작품을 배출했다. 20세기에는 프랑스 작가들이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6]

노벨 문학상 수상자
연도작가비고
1901년쉴리 프뤼돔최초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1904년프레데리크 미스트랄오크어로 집필
1915년로맹 롤랑
1921년아나톨 프랑스
1927년앙리 베르그송
1937년로제 마르탱 뒤 가르
1947년앙드레 지드
1952년프랑수아 모리아크
1957년알베르 카뮈
1960년생장 페르스
1964년장 폴 사르트르수상 거부
1969년사무엘 베케트아일랜드 출신, 영어와 프랑스어로 집필
1985년클로드 시몽
2008년J. M. G. 르 클레지오
2014년파트릭 모디아노
2022년아니 에르노



중세 시대 대표작은 작자 미상의 ''롤랑의 노래'',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이방, 또는 사자 기사'', ''란슬롯, 또는 수레 기사'' 등이다. 16세기 프랑수아 라블레는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을 썼고, 17세기 마담 드 라파예트는 ''클레브 공주''를 발표했다. 18세기에는 아베 프레보 ''마농 레스코'', 볼테르 ''캉디드'', 장 자크 루소 ''쥘리 혹은 새 엘로이즈'' 등이, 19세기 스탕달 ''적과 흑'', 오노레 드 발자크 ''인간 희극'', 빅토르 위고 ''레 미제라블'', 귀스타브 플로베르 ''보바리 부인'' 등이 대표적이다.

20세기 앙드레 지드 ''위조지폐범'',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알베르 카뮈 ''이방인'' 등이, 21세기 미셸 우엘벡 ''지도와 영토''등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나왔다.

프랑수아 비용 ''유언'', 장 드 라 퐁텐 ''우화'', 빅토르 위고 ''명상시집'', 샤를 보들레르 ''악의 꽃'', 아르튀르 랭보 ''지옥의 계절'' 등은 대표적인 시다.

희곡은 피에르 코르네유 ''시드'', 몰리에르 ''타르튀프'', 장 라신 ''페드라'', 에드몽 로스탕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사무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등이 유명하다.

미셸 드 몽테뉴 ''수필'', 블레즈 파스칼 ''팡세'',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알베르 카뮈 ''시지프스 신화'' 등은 프랑스 문학의 중요한 수필 및 사상 작품이다.

롤랑의 노래』 8개 장면.

7. 1. 소설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이방, 또는 사자 기사, 란슬롯, 또는 수레 기사를 썼다.[1] 프랑수아 라블레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을 썼다.[2] 마담 드 라파예트는 클레브 공주를 썼다.[3] 아베 프레보마농 레스코를 썼다.[4] 볼테르캉디드를 썼다.[5] 장 자크 루소는 쥘리 혹은 새 엘로이즈를 썼다.[6] 드니 디드로는 숙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을 썼다.[7]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위험한 관계를 썼다.[8] 스탕달적과 흑, 파르마 수도원을 썼다.[12] 오노레 드 발자크인간 희극 (고리오 영감, 잃어버린 환상, 외제니 그랑데 포함)을 썼다.[12] 알렉상드르 뒤마몽테크리스토 백작, 삼총사를 썼다.[12] 빅토르 위고는 노트르담의 꼽추, 레 미제라블을 썼다.[12] 귀스타브 플로베르보바리 부인, 살람보, 감정 교육을 썼다.[12] 에밀 졸라테레즈 라캥, 루공 마카르 (술집, 나나, 제르미날 포함)을 썼다.[12] 기 드 모파상은 벨 아미, 목걸이를 썼다.[12] 앙드레 지드는 위조지폐범, 부도덕한 사람을 썼다.[13] 마르셀 프루스트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썼다.[13] 루이페르디낭 셀린은 밤의 끝으로의 여행을 썼다.[13]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어린 왕자를 썼다.[13] 앙드레 말로인간의 조건을 썼다.[13] 알베르 카뮈이방인을 썼다.[13] 장 폴 사르트르구토를 썼다.[13] 프랑수아즈 사강슬픔이여 안녕을 썼다.[13]

7. 2. 시

7. 3. 희곡

7. 4. 수필, 사상 등

미셸 드 몽테뉴는 《수필》,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는 《잠언집》, 블레즈 파스칼은 《팡세》를 저술했다.[6] 장 자크 루소는 《사회계약론》, 《고백록》을 썼고,[6] 프랑수아 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그리스도교의 천재성》, 《저승으로부터의 회상록》을 저술했다.[6] 알렉시 드 토크빌은 《미국의 민주주의》를,[6] 알베르 카뮈는 《시지프스 신화》를 썼다.[6] 장 폴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 《실존주의는 인간주의다》를,[6] 시몬 드 보부아르는 《제2의 성》을 저술했다.[6]

7. 5. 비평

근대 비평의 아버지, 생토브

참조

[1] 웹사이트 French literature http://www.discoverf[...] 2016-04-19
[2] 웹사이트 Romance languages and literatures: why study French? http://www.lsa.umich[...] 2012-04-19
[3]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https://sourcebooks.[...] 2020-03-23
[4] 뉴스 The Media Business; Books Star on TV, but Only in Franc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0-09-10
[5] 웹사이트 Saying 'No thanks' to Nobel | News | al Jazeera http://www.aljazeera[...] 2014-07-30
[6] 웹사이트 Evolution of National Nobel Prize Shares in the 20th Century http://www.idsia.ch/[...] 2014-08-05
[7] 일반
[8] 서적 Encyclopédie ou Dictionnaire raisonné des sciences, des arts et des métiers http://fr.wikisource[...]
[9] 서적 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Hachette
[10] 웹사이트 La Crise de l’esprit http://wikilivres.ca[...] Wikilivres 2009-12-28
[11] 일반
[12] 논문 明治初期におけるフランス文学の移入 http://id.nii.ac.jp/[...] 2009-12-28
[13] 웹사이트 東京大学フランス語フランス文学研究室・仏文科とは https://www.l.u-toky[...] 東京大学 2020-06-11
[14] 논문 『海潮音』のマラルメ詩と日本の象徴派詩人 http://id.nii.ac.jp/[...] 埼玉医科大学 2020-06-11
[15] 서적 『ラ・ジャポネーズ』 筑摩書房
[16]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